본문 바로가기

운명학359

토없는 사주 토많은 사주 토(土) 갯수별 특징 토없는 사주, 토많은 사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토(土)는 흙을 나타내며, 풍요와 안정감, 어머니의 모성을 상징합니다. 사주에 토(土)가 몇 개 있는지 여부에 따라 사주 풀이는 달라집니다. 지금부터 토(土)가 많은 사주, 토(土)가 없는 사주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흙 기운이 많은 사람은 포용력이 크고, 남들에게 베풀려는 마음이 강합니다. 반면, 흙없는 사주는 늘 마음이 허전하고, 남을 포용하기보다는 자신이 포용받기를 더 바랍니다. 인간은 두 다리로 땅에 의존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넓은 대지를 상징하는 토(土)는 인간의 고향이자 어머니의 품을 상징합니다. 토(土) 상징 색상 : 노란색 방향 : 중앙 계절 : 환절기 미각 : 단맛 신체 : 위장, 비장 키워드 : 중립, 평화, 포용력, 안정감, 풍요.. 2023. 7. 25.
화(火)없는 사주 불없는 사주 특징 화(火)없는 사주, 일명, 불없는 사주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행(五行) 중 화(火)는 불과 같은 성격, 정열을 상징합니다. 사주에 화(火)가 없거나, 혹은 화(火)가 많다면 어떻게 풀이될까요? 지금부터 화(火)의 개수별 특징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사주의 화(火)가 많으면,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하고 따뜻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때로는 불과 같은 성급함을 보이기도 합니다. 불의 기운이 상징하는 것은 한여름, 뜨거운 열기, 불과 같이 타오르는 열정, 역동적인 모습을 상징합니다. 반면, 화(火)가 부족한 사람은 주변을 밝히는 기운이 약하며, 자신에 대해서도 잘 표현하지 못합니다. 일에 있어서도 추진력이 약하며, 감정표현이 서툴러 주변의 오해를 사기 쉽습니다. 화(火) 상징 색상 : .. 2023. 7. 24.
목없는 사주 목많은 사주 목(木) 갯수별 풀이 사주에서 목없는 사주, 목많은 사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주는 오행(五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목(木)은 나무를 상징하며, 위로 뻗어나가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주의 여덟 글자 중 목(木)의 갯수에 따라서 사주풀이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사주에 목(木)이 많으면, 의욕에 넘치고, 리더십이 뛰어납니다. 배움에 대한 열정이 뛰어나며, 상상력이 풍부합니다. 새로운일에 도전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목많은 사주는 목(木)의 갯수가 3~4개 정도를 말합니다. 사주에 목(木)이 없으면, 변화와 도전에 소극적이며, 남에게 의지하려는 경향이 심합니다. 목(木) 기운이 상징하는 것은 씨앗, 시작, 도전, 봄입니다. 젊은 날의 꿈과 희망, 봄의 따뜻한 기운을 받고 자란 나무의 강인한 생명력이 바로 .. 2023. 7. 24.
M자 손금 재물선 과연 부자 손금 일까? 재물, 부자손금으로 알려진 M자 손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자 손금은 주로 후천적으로 만들어지는 손금으로, 세로로 그어진 운명선이 감정선과 두뇌선을 가로지르면서, 마치 알파벳 'M' 자모 양을 형상하다고 해서, M자 손금이라고 부릅니다. 감정선 : 연예, 애정운, 결혼운을 나타내는 선 두뇌선 : 지능과 적성, 학업을 나타내는 선 생명선 : 건강과 장수를 나타내는 선 운명선 : 후천적으로 생기는 선으로, 인생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선 손금 확인하기 손금을 볼 때는 주로 자신이 사용하는 손을 위주로 보시면 됩니다. 오른손잡이는 오른손, 왼손잡이는 왼손 기준입니다. 양손잡이라면, 주로 사용하는 손을 보시면 됩니다. 오른손잡이 기준으로, 오른손은 자신의 생각과 행동, 노력으로 만들어지는 후천적 운세.. 2023. 7. 15.
막쥔 손금 일자 손금 가진 사람 특징 '일자 손금'이라고 불리는 막쥔 손금은 1000명 중 1명에게 나타나는 손금으로, 개성 및 자기주장이 강한 손금이라고 합니다. 막쥔 손금은 남자, 여자에 따라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양손 모두 막쥔 손금일 경우 평탄한 삶과는 거리가 멀다고 합니다. 손금 기본선 손금에는 3개의 선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바로 생명선, 두뇌선, 감정선입니다. 생명선 : 엄지에서 손목으로 내려오는 선으로, 생명과 건강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선이 굵고, 길며, 큰 곡선을 이루어 엄지손가락을 넓게 감쌀수록 좋습니다. 중간에 선이 끊어지거나, 짧으면, 질병으로 고생을 하거나, 병원신세를 지게될 수 있습니다. 지나치게 짧은 선은 일찍 단명하게 됩니다. 두뇌선 : 엄지에서 시작해서 새끼손가락방향으로 이어지는 선으로, 지능과 적성.. 2023. 7.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