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신일주(丙申日柱) 여자 남자 특징
병신일주(丙申日柱) 여자, 남자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병신일주는 바위산 위에 태양이 비추는 모습으로, 남녀모두 외모가 뛰어나며, 밝고, 착한 성품의 사람이 많습니다. 문창귀인에 속하므로, 두뇌가 총명하고, 융통성이 있으며, 다재다능한 능력을 발휘합니다. 병신일주(丙申日柱) 병신일주는 물상적으로 태양이 큰 바위를 비추는 형상입니다. 북한산 인수봉과 같이 외모가 수려하고, 기암괴석처럼, 이목구비가 뚜렷하며, 태양처럼 이글거리고, 반짝이는 눈을 가진 사람이 많습니다. 정열적이고, 다혈질 적입니다. 병화의 뜨거운 열기는 신금 철광석을 녹이므로, 병신일주 중에는 큰 부자가 많습니다. 남자인 경우 성욕이 강하고, 타고난 역마의 기운으로, 바쁘게 움직이면서, 재물을 모으게 됩니다. 병화(丙火) - 확산하는 ..
2024. 2. 16.
갑진일주(甲辰日柱) 여자 남자 특징
갑진일주(甲辰日柱) 여자, 남자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갑진일주는 '비옥한 토양 위에 큰 나무가 서있는 모습'으로, 갑목일간 중에 가장 조화로운 일주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백호살의 기운으로 화가 나면 전투적인 모습을 바뀌기도 합니다. 갑진일주(甲辰日柱) 갑진일주는 물상적으로 물기가 촉촉한 토양 위에 만물의 생동을 의미하는 갑목이 서있는 모습으로, 봄의 기운이 완연한 일주입니다. 갑목 일간 중에서 가장 조화로운 모습입니다. 지지(地支)에 재성을 두고 있으니, 부자가 될 가능성이 높으며, 지장간 속 무계합으로 화(火) 식상을 만들어내니, 먹고사는데 큰 어려움이 없습니다. 하지만 을목(乙木) 겁재로 인해, 늘 경쟁상대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갑목(甲木) - 상승하는 기운, 봄, 새싹, 나무..
2024. 2. 15.
계해일주(癸亥日柱) 여자 남자 특징
계해일주(癸亥日柱) 여자, 남자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계해일주는 60갑자중 마지막 일주로써, 끝이라는 의미도 있지만, 다시 시작한다는 뜻도 있습니다. 일의 마무리를 잘하고, 동시에 일을 준비하고, 계획하는 등 시작과 끝이 한결같습니다. 계해일주(癸亥日柱) 계해일주는 간여지동(천간과 지지의 오행이 같은 일주)으로, 수(水)로만 이루어진 일주입니다. 자존심과 고집이 세지만, 수(水)의 유연함과 부드러움으로, 성격이 온화하고, 다정다감합니다. 하지만 한번 화가 나면, 쓰나미처럼 다 엎어버리는 수가 있으므로, 그동안 쌓아온 노력이 한순간에 날아가 버리기도 합니다. 계수(癸水) - 맑고, 깨끗한 물, 물방울, 이슬, 수증기, 계곡, 빗물, 구름, 안개 - 흐르는 물로써, 이동, 역마, 소리와 관련이 있음..
2024. 2. 15.
계축일주(癸丑日柱) 여자 남자 특징
계축일주(癸丑日柱) 여자, 남자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계축(癸丑)은 물상적으로 '겨울의 소'를 뜻하므로, 게으른 뱅이처럼 보일 수 있지만, 다른 의미로는 '봄을 기다리는 소'로써, 때를 기다린다고 볼 수있습니다. 부드러워 보이지만, 백호살과 양인의 기운으로 60갑자 중 강한 일주에 속합니다. 계축일주(癸丑日柱) 계축일주는 십이운성이 관대, 십상으로는 편관에 해당되며, 백호살이 아주 강한 일주입니다. 계수(癸水) - 맑고, 깨끗한 물, 물방울, 이슬, 계곡, 빗물, 구름, 안개 - 흐르는 물로써, 이동성(역마), 말과 소리와 관련이 있음, 지혜로움, 끈기, 인내심 축토(丑土) - 동물: 소 - 계절 : 겨울 - 지장간 : 계수(비겁), 신금(인성), 기토(관성) - 얼어붙은 땅, 근면, 성실, 인내..
2024. 2. 14.
상관(傷官) 사주 뜻 특징
사주에서 식상(食傷)은 식신과 상관을 합쳐서 부르는 말로써, 여자에게는 자식을 뜻하고, 남자에게는 장모가 식상(食傷)에 해당됩니다. 그중에서 상관뜻은 한자로 상할 상(傷), 벼슬 관(官)이라고 하여, 일간인 나의 힘을 빼앗아가는 기운입니다. 상관(傷官) 상관뜻은 '벼슬을 상하게 하는 기운'으로, '관직 또는 관(官)을 상하게 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상관(傷官)은 식신과 짝을 이루지만, 오행의 상생상극 원리에 의해, 정관을 공격하는 기운입니다. 과거 농경사회에서 관(官)이란 이름이 붙은 벼슬이나 관직을 숭상하였으며, 특히 정관을 최고로 여겼습니다. 이러한 정관을 공격하는 상관(傷官)을 홀대하고, 나쁘게 평가했습니다. 상관(傷官)은 기본적으로 식신의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식신이 가지지 못한 예리함..
2024. 2. 8.